학과, 전공변경 지원자는 본 대학원 1학년 과정(두 학기)을 이수하였거나 이수예정인 학생이어야 한다.
학과, 전공변경은 연 1회 실시하며, 소정의 시험을 거쳐 총장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시험에 합격한 학생은 지원 학과,전공의 제3학기 진급에 필요한 과목을 이수한 것으로 인정한다.
학과, 전공변경은 동일 언어 간에만 가능하다.
본 대학원의 학생은 별도의 승인을 얻어 본 대학원 타전공 교과목을 12학점 이상 취득하여 부전공으로 이수할 수 있다. 부전공 운영에 관한 세부사항은 원장이 별도로 정한다.
석사학위과정의 경우에는 외국어시험을 모두 면제한다.
박사학위과정의 경우에는 외국어시험을 영어로 한다. 본 대학원에서는 다음 각 호의 1에 해당하는 학생은 영어시험을 합격한 것으로 한다.
①본 대학원에서 시행하는 영어시험에서 70점 이상 획득한 자
②공인된 어학능력시험에서 최저합격기준 이상 획득한 자
시험 유형 |
최저합격기준 | 시험 유형 |
최저합격기준 |
---|---|---|---|
TOEFL(PBT) | 550점 | TOEIC | 730점 |
TOEFL(CBT) | 213점 | TEPS | 638점 |
TOEFL(IBT) | 78점 | IELTS | 5.5점 |
③언어교육원의 대학원 영어특강 프로그램 평가시험에서 50점 이상인 자
각 학위과정 수료에 필요한 학점을 취득했거나 취득하게 되는 학기부터 종합시험에 응시할 수 있다. 다만, 종합시험에 응시한 학기에 수료에 필요한 학점을 취득하지 못하였을 경우에는 종합시험에 응시하지 아니한 것으로 본다.
종합시험은 매학기말에 시행하며, 시험과목은 다음 각 호와 같다.
석사학위과정(통역학과, 각 언어 통역전공): 동시통역AB, 동시통역BA, 순차통역AB, 순차통역BA
석사학위과정(번역학과, 각 언어 번역전공): 일반번역AB, 일반번역BA, 문학번역AB, 문학번역BA
박사학위과정: 통번역이론, 연구방법론 외 1과목
종합시험은 각 항의 모든 과목에 대해서 각각 70점 이상(100점 만점 기준)을 얻어야 “합격‘으로 판정한다. ”불합격“한 학생은 70점 미만인 과목에 대하여 다시 응시할 수 있다. 재응시하는 학기에는 별도 등록을 하여야 한다.
최초 응시한 종합시험에서 우수한 점수를 획득한 응시자는 종합시험 성적우수 인증 대상자로 추천되며 전공에 따라 면접 등의 심사 절차가 추가될 수 있다.
종합시험 성적우수 인증 추천은 응시자가 최초 응시한 종합시험 평가결과에 따라 이루어지며, 평가 대상 교과목은 아래와 같다:
석사학위과정(통역번역학과, 각 언어 통역전공): 종합시험 전체 교과목(동시통역AB, 동시통역BA, 순차통역AB, 순차통역BA)
석사학위과정(통역번역학과, 각 언어 번역전공): 종합시험 전체 교과목(일반번역AB, 일반번역BA, 문학번역AB, 문학번역BA) 중 언어 방향이 동일한 두 교과목
종합시험 성적우수 인증 추천 자격이 주어지는 종합점수 기준은 아래와 같다.
통역전공: 전 과목 평균 90점 이상
번역전공: 언어방향별 두 과목 평균 90점 이상
종합시험 성적우수 인증 추천 기회는 최초 응시한 종합시험 결과로 제한된다.
석사학위과정 학생 중 학위논문에 준하는 논문을 제출하고자 하는 학생은 대학원 학칙시행세칙의 학위청구논문 규정 및 대학원 학위청구논문 체제에 따라 제출한다.
논문지도 교과목인 “논문지도”는 수료에 필요한 학점을 모두 취득한 학생이 논문등록과 함께 수강신청한다
2014학년도 박사학위과정 입학생부터는 박사학위 논문 심사 전까지 한국연구재단 등재지 또는 등재후보지에 1편 이상의 논문을 주저자(제1저자 또는 교신저자)로 발표하여야 하며, 이를 증빙하는 서류를 논문제안심사 전까지 제출해야한다.